안녕하세요 즐거운 세상 즐건맘입니다.
오늘은 뇌기능 저하를 피할 수 없다면 두뇌운동을 위해서 이것만을 꼭 하자!!!
이것이 뭘까요?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거지만 우리가 생각 못하는 운동이 뇌기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닥터 대니 선생님 치료를 받고 있었던 어느 날 갑자기 소뇌위측증이라는 절망스러운 진단을 받은 청년이 사지가 경직되고 힘이 빠지면서 균형감각이 줄어들고 워커에 의지해서 걸어야 했는데 점점 더 힘이 빠지면서 휠체어 신세를 지기 시작했습니다.
걷기가 어려워지면서 받은 휠체어 도움이 앞으로 평생 걷지도 못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로요.
소뇌 위측증이란 소뇌가 갑자기 위축되는 병으로 유전자가 관여하기도 하고 식이 중에서 밀가루 단백질인 글루텐에 자가면역의 형태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미국 내에서는 소뇌 세포의 단백질과 글루텐 단백질의 관계에 대해 진단하는 검사들이 존재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러한 검사가 없다고 하네요...
소뇌위측증은 원인불명의 치료약도 치료도 재활치료도 거의 전무합니다.
의사도 해줄 수 없는 것이 소뇌 위측증이라고 하네요.... 이 청년 마른하늘에 날 버락을 맞은 기분이었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 청년이 닥터 대니 선생님과 인연이 되어 평생소원이 걷고 싶다고 했는데 한 달 만에 휠체어 없이 걸을 수가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대니 선생님이 소원을 이루게 해 준 샘이지요.
이 청년을 걷게 만든 귀한 운동이 과연 뭔지 보고 매일 5분씩 운동해 봅시다.
눈은 뇌와 직접적인 연결이 되어 있다
눈 운동이 곧 두뇌 운동이 되는데요 30대 이상이라면 하루 5분 정도 지금의 뇌보다 더 좋아지는 눈운동 한번 따라서 해볼까요
좌우 수평 안구추적: 그러나 눈의 운동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좌우인데도 불구하고 좌측의 움직임과 우측의 움직임이 다르며
상하 수직 안구추적: 위의 움직임과 아래의 움직임이 다르며
주시 유발 안진 vs 종점 안진: 한쪽 방향에서만 안구 안진이라고 하는 눈의 흔들림이 보입니다. 그리고 전정신경, 이와 연계되는 세반 고리관의 과활성화, 사위의 문제로 인해 눈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기도 합니다.
눈 모으기
눈의 정상적인 운동성은 자율신경, 뇌기능 등을 확인하고 뇌재활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사진으로은 많이 부족하니 닥터 대니 선생님 영상을 보시면 엄청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실제 사례 바탕으로 영상을 담아 주시 내용이니 만큼 눈 운동이 왜 뇌기능을 최소 10배가 좋아지는 영상을 통해서 알 수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영상 앞부분에서 다룬 내용입니다
뇌기능에 좋은 운동 핵심은 영상을 봐야 알수 있어요
영상 보고 두뇌운동 따라 해 보니 저는 오른쪽이 좀 불편함이 있군요^^;;;
저도 오늘부터 영상 따라서 열심히 해봐야겠습니다.
뇌기능 저하는 피할 수는 없겠지만 좋아질 수 있는 방법을 알았으니 좋아지도록 열심히 운동합시다.
두뇌 운동으로 뇌기능이 최소가 10배가 좋아진다고 하니 건강한 뇌를 만들어 봅시다
유익한 정보였다면 하트♥공감 부탁드립니다.
댓글